1 00:00:06.225 --> 00:00:09.825 기업과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의 시작 2 00:00:10.475 --> 00:00:12.675 기업의 경쟁우위는 '지속가능성'에 있다 3 00:00:12.675 --> 00:00:15.225 지속가능경영 ESG 경영 선포 4 00:00:15.675 --> 00:00:19.425 임원인사·조직 개편 단행... '지속가능성장' 중점 5 00:00:19.425 --> 00:00:22.925 이제 기업의 미래는 기술보다 '지속가능성' 6 00:00:23.325 --> 00:00:26.075 기업의 화두가 된 지속가능경영 7 00:00:26.625 --> 00:00:28.275 경제 8 00:00:28.275 --> 00:00:30.325 환경 9 00:00:30.325 --> 00:00:32.975 사회적 가치 10 00:00:33.575 --> 00:00:37.675 경제, 환경, 사회적 가치의 공존이 토대가 되는 지속가능경영 11 00:00:38.125 --> 00:00:38.975 지속가능경영 12 00:00:38.975 --> 00:00:46.225 지속가능경영이란 무엇인가? 13 00:00:51.225 --> 00:00:54.225 안녕하세요 인하대학교 김종대 교수입니다 14 00:00:54.225 --> 00:01:01.275 저는 지속가능연구소의 ESG 센터를 만들어 ESG 센터장을 하고 있고요 15 00:01:01.275 --> 00:01:03.225 최근에 기업들이 많이 얘기하고 있는 16 00:01:03.225 --> 00:01:08.925 ESG에 대한 강의와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17 00:01:08.925 --> 00:01:11.825 오늘 제가 얘기해 보고 싶은 것은 18 00:01:11.825 --> 00:01:16.875 'ESG의 근원' ESG와 연관을 시켜서 그 뿌리를 얘기해 보고자 하는데요 19 00:01:17.525 --> 00:01:21.975 시작을 저는 지속가능발전 그리고 20 00:01:21.975 --> 00:01:25.975 지속가능발전이 지속가능경영으로 진화되어 나가는 21 00:01:25.975 --> 00:01:28.375 과정을 중심으로 말씀드리려고 하고요 22 00:01:28.375 --> 00:01:33.225 거기에다가 또 요즘 우리가 많이 쓰지는 않지만 23 00:01:33.225 --> 00:01:36.825 CSR이 지금 어떤 상황에 있는지 24 00:01:36.825 --> 00:01:40.075 그리고 진화되어 가고 있는 단계가 어떤지 25 00:01:40.075 --> 00:01:44.875 그리고 그것과 함께 ESG의 동향에 대해서 26 00:01:44.875 --> 00:01:50.975 전반적인 역사, 배경, 발전, 개념을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27 00:01:50.975 --> 00:01:56.475 지속가능성의 시작, 브룬트란트 보고서 28 00:01:56.475 --> 00:02:01.925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1987년에 UNEP이죠 29 00:02:01.925 --> 00:02:03.475 UNEP의 WCED 30 00:02:03.475 --> 00:02:07.725 우리말로 환경 및 발전에 관한 세계위원회라 하죠 31 00:02:07.725 --> 00:02:09.025 보고서를 냈는데요 32 00:02:09.025 --> 00:02:13.275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'우리 공동의 미래'라는 보고서입니다 33 00:02:13.275 --> 00:02:14.825 Our Common Future죠 34 00:02:14.825 --> 00:02:17.375 굉장히 기념비적인 작업이었는데요 35 00:02:17.375 --> 00:02:20.825 이 작업을 전체적으로 총괄한 분이 36 00:02:20.825 --> 00:02:24.625 노르웨이의 총리였던 브룬틀란이라는 분이어서 37 00:02:24.625 --> 00:02:27.833 이 보고서를 브룬트란트 보고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38 00:02:27.833 --> 00:02:29.233 기본적으로 이 보고서는 39 00:02:29.233 --> 00:02:33.133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로 인한 위기가 40 00:02:33.133 --> 00:02:36.634 사회와 경제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41 00:02:36.634 --> 00:02:39.434 이런 현실 인식을 배경으로 이루어졌고요 42 00:02:39.734 --> 00:02:43.784 환경과 사회, 환경과 경제발전의 관계에 관한 43 00:02:43.784 --> 00:02:48.684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의 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고요 44 00:02:48.684 --> 00:02:51.834 종합적으로 얘기하면 인류 Humanity죠 45 00:02:51.834 --> 00:02:55.485 인류와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성찰한 보고서다 46 00:02:55.485 --> 00:02:56.785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47 00:02:56.785 --> 00:03:01.235 여기서 정의한 개념이 지속가능발전인데요 48 00:03:01.235 --> 00:03:05.985 미래 세대도 과연 우리처럼 이런 풍족한 삶을 누릴 수가 있을까 49 00:03:05.985 --> 00:03:11.435 이런 반성과 우려에서 시작됐다고 보시면 되고요 50 00:03:11.435 --> 00:03:15.436 기존의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구조적 문제점이죠 51 00:03:15.436 --> 00:03:18.736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 그게 첫 번째가 되고요 52 00:03:18.736 --> 00:03:21.336 두 번째는 소득 불평등이 되는 겁니다 53 00:03:21.336 --> 00:03:25.436 이런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계속 경제 성장을 해나가면 54 00:03:25.436 --> 00:03:30.486 인류와 지구가 언젠가는 붕괴된다는 55 00:03:30.486 --> 00:03:32.337 위기의식을 가지게 된 거죠 56 00:03:32.337 --> 00:03:36.187 그래서 이 세 가지가 동시에 균형 있게 추구되어야 한다 57 00:03:36.387 --> 00:03:37.987 셋 다 E로 시작하죠 58 00:03:37.987 --> 00:03:42.087 경제 Economy, 환경 Ecology, 평등 Equality 59 00:03:42.087 --> 00:03:45.537 환경과 경제, 환경과 사회, 사회와 경제 60 00:03:45.537 --> 00:03:48.487 이것들이 전부 다 상호 연결되어 있어서 61 00:03:48.487 --> 00:03:52.538 어느 하나가 무너지면 다른 축도 유지될 수가 없다는 62 00:03:52.538 --> 00:03:54.738 그런 통찰력을 가지고 있고요 63 00:03:54.738 --> 00:03:59.088 두 가지로 지역·계층 간의 경제적 불평등은 사회 문제죠 64 00:03:59.088 --> 00:04:03.288 그리고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 간의 경제적 불평등 65 00:04:03.288 --> 00:04:05.038 환경 문제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66 00:04:05.038 --> 00:04:07.438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고 67 00:04:07.438 --> 00:04:09.289 해법을 제시하려고 했던 노력이 68 00:04:09.289 --> 00:04:11.289 이 보고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69 00:04:11.289 --> 00:04:13.039 그래서 지속가능에 관해서 70 00:04:13.039 --> 00:04:15.889 이 보고서의 가장 뛰어난 점이 뭐냐면 71 00:04:15.889 --> 00:04:18.389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는 겁니다 72 00:04:18.839 --> 00:04:21.789 지속가능성이 자유주의 시장 경제에 기초를 둔 73 00:04:21.789 --> 00:04:24.839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본질적 문제를 다루고 있고 74 00:04:24.839 --> 00:04:27.890 그다음에 그 내부에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인 문제 75 00:04:27.890 --> 00:04:31.040 즉, 환경 파괴, 자원 고갈, 소득 불평등 76 00:04:31.040 --> 00:04:32.290 이게 서로 얽혀 있구나 77 00:04:32.290 --> 00:04:35.590 그러니까 동시에 균형 있게 발전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 78 00:04:35.590 --> 00:04:40.290 이런 통합적인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거죠 79 00:04:40.290 --> 00:04:43.390 지속가능성이라 하는 것은 환경뿐만이 아니라 80 00:04:43.390 --> 00:04:47.490 사회정의, 포용성, 인권, 세대 간 평등 81 00:04:47.490 --> 00:04:51.891 광범위한 사회환경적 이슈를 다 포괄하게 된 것도 82 00:04:51.891 --> 00:04:56.441 사실은 이 보고서에서 통합적 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83 00:04:56.441 --> 00:04:58.391 그래서 지속가능발전이라는 것은 84 00:04:58.391 --> 00:05:02.041 경제 정책 위주로 매크로하게 주로 얘기를 하고 있다가 85 00:05:02.041 --> 00:05:06.392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이념, 원칙, 철학이 86 00:05:06.392 --> 00:05:08.092 실천 단계로 내려오면 87 00:05:08.092 --> 00:05:11.242 기업 레벨의 운영 및 경영 전략이 되는 거죠 88 00:05:11.242 --> 00:05:15.542 그래서 지속가능경영이라는 용어가 탄생하게 됩니다 89 00:05:16.292 --> 00:05:20.892 기업 + 지속가능성 = 지속가능경영의 시작 90 00:05:21.192 --> 00:05:27.142 지속가능경영은 1990년대 중반부터 우리가 본격적으로 사용했죠 91 00:05:27.142 --> 00:05:30.892 지속가능성 추구를 위해서 실천을 해야 될 거 아닙니까 92 00:05:30.892 --> 00:05:32.543 그러니까 거시경제 차원에서는 93 00:05:32.543 --> 00:05:36.793 정책 수립에 있어서 할 수 있는 일이 규제죠 94 00:05:36.793 --> 00:05:40.493 환경 관련 법규가 굉장히 강화되기 시작합니다 95 00:05:40.493 --> 00:05:42.343 Green Management라고 하거나 96 00:05:42.343 --> 00:05:45.944 Environmental Management라고 하는 영역을 만들어서 97 00:05:45.944 --> 00:05:48.044 환경경영을 굉장히 발전시켰죠 98 00:05:48.044 --> 00:05:51.794 이건 그야말로 환경 이슈에만 초점을 두는 거죠 99 00:05:51.794 --> 00:05:54.294 왜냐하면 환경 경영은 100 00:05:54.294 --> 00:05:56.844 굉장히 중요한 현실적인 이슈가 많았고 101 00:05:56.844 --> 00:05:59.545 해결하지 않으면 어마어마한 비용이 발생하고